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지의 유래 오늘은 대한과 소한 사이에 있으며,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24절기 중 스믈두 번째의 절기인 동지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4절기는 자연의 변화를 태양력을 기준으로 나눈 절기이기 때문에 우리가 쓰는 달력(양력) 상으로 12월 21일, 12월 22일, 또는 12월 23일이 동지입니다. 이렇게 12월 22일을 기준으로 하루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은 1년 365일이 24로 나누어 똑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12월 21일이 동지 입니다. 고대인들은 동지를 계기로 길었던 밤이 짧아지고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태양이 기운을 회복하기 시작하는 만큼 동지는 희망이 새롭게 시작하는 날이기도 했습니다. 중국의 《역경》에 .. 더보기 세탁기(Clothes Washer)의 유래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가 세탁기라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지난 2009년 로마 교황청이 펴내는 기관지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에 흥미로운 내용이 있었는데요, 20세기에 여성 해방에 가장 크게 기여한 발명품으로 세탁기를 선정한 것입니다. 세탁기가 여성의 가사 노동을 줄여주면서 남녀의 역할과 사회구조 변화에 깊은 영향을 끼첬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강조한 것이죠. 오늘은 세탁기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류가 옷을 깨끗하게 세탁하기 위해서 강가에서 옷을 바위에 두드려야 한다는 사실은 일찍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20세기에 들어서도 손으로 문지르는 노동을 통해서 빨래를 해결해야 했습니다. 최초의 기계식 세탁기는 1782년 영국인 핸리 시지어(.. 더보기 우산(Umbrella)의 유래 인간의 발명품 중 진화의 속도가 가장 느린 것 중의 하나가 우산이 아닐까 합니다. 비가 올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필수품인 우산을 언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지 우산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산이라는 단어는 그늘을 의미하는 움브라(umbra)라는 라틴어에서 나왔습니다. 아시리아의 수도인 니네베(Nineveh)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부터 19세기에 패션계를 정복한 파라솔에 이르기까지 우산은 안락함을 상징했고, 귀족이라는 신분과 지위를 드러내는 것이었으며, 태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집트에서 우산을 사용해서 그늘을 드리운다는 것은 귀족 이상의 신분을 가진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었습니다. 왕실 사람들은 그들을 보호하는 ‘천장’을 상징하기 위해 우산을 썼다고.. 더보기 오케이 사인(OK Sign)의 유래 상대방의 말을 이해했거나, 동의할 때, 그리고 무언가를 성취한 기쁨을 표현할 때 우리는 ‘OK’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엄지와 검지를 말아서 동그랗게 만든 다음 나머지 손가락은 모두 위로 펴서 표현하죠. ‘오케이’란 단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유래를 정확하게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세 가지 가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오케이’라는 단어는 북아메리카 촉토(Choctaw) 족의 ‘그것이 그렇다.’라는 의미인 오케(okeh)에서 미국 영어로 편입되었다는 설입니다. 2. 서아프리카 월로프(Wolof)족의 ‘나는 동의한다’라는 의미인 와우카이(waw-kay)에서 왔다고도 합니다. 3. ‘다 맞다’라는 뜻의 ‘올 코렉트(oll korrect)’라는.. 더보기 X-선(X-ray)의 유래 X-선은 1895년 독일의 의사인 빌헬름 콘라드 뢴트겐(Wilhelm Conrad Rӧntgen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음극선관(cathode-ray tube)에 전류로 실험을 하던 중에 실험관에서 새어 나온 초록색 광선이 나무와 두꺼운 종이책을 투과한 걸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빌헬름이 손을 가져다 대자 그 광선이 손을 투과하며 자신의 손에 있는 뼈의 그림자를 볼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 전자는 유리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나무, 종이, 알루미늄, 그리고 다른 물질도 모두 통과했습니다. 그는 이해할 수 없는 이 광선에 특별한 이름을 짓지 않고 수학에서 ‘미지의 속성’을 가리키는 ‘X’를 붙여 ‘X-ray(미지의 광선)’라고 불렀습니다. 이 복사선이 빛처럼 보이지는 않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그도 .. 더보기 포크(Fork)의 유래 식사할 때 대부부의 나라에서는 도구를 사용합니다. 음식 문화에 따라 손으로 먹는 나라도 있지만 인간들은 각 나라의 음식을 먹는 방법에 가장 최적화된 식사 도구를 발전시켜 왔죠. 우리나라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하지만, 서양에서는 포크와 스푼, 그리고 나이프를 사용하는 나라가 많이 있습니다. 사용하기가 편리해서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도 많이 사용하고 ‘포크’ 발명된 그 시대의 사람들도 지금처럼 포크를 편리하게 사용했을까요? 오늘은 이 포크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크라는 말은 ‘갈퀴’라는 의미의 라틴어인 푸르카(furca)에서 유래되었으며, 히브리어 성경에서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포크를 만들었지만, 모두 의식용으로 만들어졌고 실제로 사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식사용으로 사용한 최초의.. 더보기 김장(Gimjang)의 유래 김치는 우리나라 특유의 채소 저장 가공식품으로, 우리의 식사상에 빠지지 않는 음식입니다. 김장철을 맞아, 추운 겨울에도 김치를 먹기위해 저장하는 우리의 전통 '김장'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유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는 의미의 침채는 팀채, 혹은 딤채로 발음되었는데 구개음화로 인해 딤채가 짐치로 되었다가 오늘날의 김치가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의 김치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중국의 ‘삼국지’, ‘위지동이전’ 고구려조로 ‘고구려인은 술빛기, 장담그기, 젓갈 등의 발효음식을 매우 잘한다.’고 쓰여 있어 이 시기에 이미 저장발효식품을 생활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민족은 상고 시대부터 농경 생활을 시작하면서 김치류의 음식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만주 지역을 비롯.. 더보기 온도계(Thermometer)의 유래 어린 자녀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들이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정말 걱정이 됩니다. 해열제를 먹이고 시간이 좀 지난 후에 체온계로 열을 재고, 물수건으로 얼굴과 몸을 닦고 또 열을 잽니다. 이런 상황에 온도계가 없었으면 얼마나 불편하고 걱정이 됐을까요? 오늘은 우리의 체온을 정확하게 재어줄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온도계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세기경 과학자들은 액체, 혹은 기체의 온도가 끊임없이 변하는 것에 따라 그것들의 질량이나 부피도 따라서 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온도 측정기라는 것을 고안했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단순한 것은 유리관이었는데, 그 관의 한쪽 끝을 물이 든 작은 유리병에..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